뇌수막염 증상, 원인, 검사, 치료방법등 확실하게 알아보기

건강

뇌수막염 증상, 원인, 검사, 치료방법등 확실하게 알아보기

1000억부자의삶 2023. 11. 25. 14:18
반응형

뇌수막염 증상, 원인, 검사, 치료방법 등 확실하게 알아보기

뇌수막염이란?

우선 뇌수막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을 의미한다.
해부학적으로 뇌수막은 가장 깊은 곳에서 뇌를 감싸고 있는 연질막, 연질막의 밖에서 뇌척수액공간을 포함하고 있는 거미막, 그리고 가장 두껍고 질기며 바깥쪽에서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있는 경질막으로 구성된다.


뇌) 연질막) 거미막) 경질막) = 뇌수막

뇌수막은 척수로 연장되므로, 보다 정확하게는 뇌척수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뇌수막염은 일반적으로 거미막과 연질막 사이에 존재하는 거미막밑 공간에 염증이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을 의미한다.
염증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거미막밑공간에 바이러스나 세균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수막염이지만, 특정 화학 물질에 의한 염증, 암세포의 뇌척수액공간으로의 파종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 등이 있을 수 있다.

증상

임상 증상으로

  • 두통
  • 오한

진찰상으로는

  • 수막자극징후가 있다.

증상은 대개 갑작스럽게 시작되며, 38도 이상의 고열을 보인다. 두통이 가장 흔히 나타나며, 일반적인 감기나 독감과 비교할 때 그 강도가 상당히 심한 편이다.

원인

뇌수막염의 원인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바이러스가 뇌척수액공간으로 침투하여 발생하는 급성무균성수막염이다.

바이러스성

  • 에코바이러스
  • 콕사키바이러스
  • 홍역 바이러스

이 세 가지 바이러스 등등이 무균성수막염을 일으킨다.

세균성

  • 인플루엔자간균
  • 수막구균
  • 폐렴연쇄구균

인플루엔자간균에 의한 수막염은 최근 백신의 개발로 많이 감소하였고, 과거에는 2개월~7세의 소아에게서 주로 나타났지만, 최근에는 50세 이상의 성인에게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수막구균 감염에 의한 수막염은 주로 어린이와 청소년에게서 발생하며, 50대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한다.

폐렴연쇄구균에 의한 수막염은 젊은 연령과 40대 이후에서 많이 발생한다. 그 외에 단구성 리스테리아균 감염은 성인의 비외상성, 비수술성 세균수막염에서 종종 발생한다. 세균성 감염이 뇌척수액공간으로 침투하는 기전은, 혈액에서 증식한 세균이 피를 타고 뇌척수액공간 내부로 옮겨지거나, 또는 중이염이나 두개골 기저부에 발생한 세균 감염이 직접 뇌수막공간으로 넘어가는 경우로 생각할 수 있다.

진단과 검사방법

급성세균성수막염의 가장 좋은 진단 방법은 뇌척수액검사이며, 검사상 뇌척수액공간의 백혈구증가, 당 수치 감소가 나타난다.
일부 환자에서는 세균배양검사에서 세균을 분리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 다른 원인을 배제하고 두개골 기저부 등의 물리적인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 공명영상촬영(MRI)을 할 수 있다.

치료방법

바이러스 침입 시

특별한 치료가 없어도 자연적으로 호전되며, 열, 두통, 탈수증세 등에 대한 증상 완화 요법만으로도 충분하다.

세균성 침입 시

세균성수막염이 의심되면 즉시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
되도록이면 뇌척수액검사를 시행한 후 항생제를 투여하지만, 뇌척수액검사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항생제를 먼저 투여하기도 한다. 원인균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 10~14일 정도의 치료 기간이 필요하다.

적절한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세균성 수막염의 치사율은 평균 10~15% 정도이며, 생존자 중 약 15% 정도의 환자는 다양한 신경학적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노인이나 어린이, 건강 위험 요인과 질환을 가진 취약한 사람에서 치사율이 더 높다.

세균의 종류에 따른 치사율

  •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  2~5%
  • 수막구균 10~15%
  • 폐렴구균성 약 30%
  • 그람음성 간균 40~80%

예방을 위한 것으로는 Hib 백신, 폐렴구균 백신, 수막구균 백신이 있다.


경과 및 생활관리

대부분의 무균성수막염은 양호한 경과를 보인다.
수막구균은 전염성이 높으므로 환자를 격리 치료해야 하며, 환자와 접촉한 가족, 의료인에 대한 예방적 치료도 필요하다.

반응형